<aside>
💡
🧩 패킷 스위칭이란?
패킷 스위칭은 데이터를 작은 조각(패킷) 으로 나누어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적으로 전송하고, 목적지에서 이를 재조립하는 통신 방식입니다.
이 기술은 현대 인터넷의 기반이 되는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방식을 제공합니다.
</aside>
🔑 주요 특징
- 데이터 분할: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나누며, 각 패킷은 본문(실제 데이터)과 헤더(목적지 주소 등 정보)를 포함합니다.
- 독립적 전송:패킷은 최적 경로를 따라 독립적으로 이동하며, 각 패킷은 서로 다른 경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목적지에서 재조립:전송된 패킷들은 목적지에서 순서를 맞춰 원본 데이터로 복원됩니다.
🌟 장점
- 효율성:
-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활용.
- 여러 사용자의 패킷을 동시에 전송 가능.
- 신뢰성:
- 네트워크 장애 시 대체 경로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가능.
- 손실된 패킷만 재전송으로 빠른 복구 가능.
- 비용 절감:
- 필요한 순간에만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므로 비용 효율적입니다.
⚠️ 단점
- 지연 시간:
- 각 패킷이 서로 다른 경로를 사용할 수 있어 도착 시간이 달라질 수 있음.
- 데이터 재조립 과정에서 추가적인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혼잡 가능성:
- 네트워크가 혼잡하면 패킷이 손실되거나 지연될 수 있으며,이를 복구하려면 추가적인 재전송이 필요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.
- 복잡성:
- 동적 라우팅과 재조립에는 정교한 장비와 프로토콜이 필요합니다.
- 타이밍 보장 없음:
- 실시간 애플리케이션(예: VoIP, 스트리밍)에 필요한 **서비스 품질(QoS)**을 보장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
🖥 패킷 스위칭 vs 회선 교환
특징 |
패킷 스위칭 |
회선 교환 |
전송 방식 |
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 |
전용 회선을 설정 후 통신 진행 |
효율성 |
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해 효율적 사용 |
하나의 통신에 전체 회선 점유 |
비용 |
필요한 순간에만 자원 사용 |
전용 회선 사용으로 고비용 발생 |
지연 시간 |
패킷 조립 과정에서 지연 발생 가능 |
연결 상태에서 안정적 데이터 전송 |
실시간 전송 |
실시간 서비스 품질 보장 어려움 |
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유리 |